매수(롱) 및 매도(숏)이란

  1. 매수, 롱:

매수: 시장 상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롱: 현물 시장에서는 모든 매입 행위를 말하며, 저가에 사서 고가에 파는 방식으로 가격 상승을 통해 수익을 내는 행위를 포함합니다.

롱 포지션: 투자자가 시장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여 현재 가격으로 일정한 수량의 암호화폐를 매입한 후, 가격이 상승하면 고가에 매도하여 차익을 실현하는, 먼저 매입하고 나중에 매도하는 거래행위를 말합니다.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은 사실상 특정 개인이나 기관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예상을 가진 투자자 집단을 통칭합니다.

예시: 예를 들어, 한 코인의 현재 가격이 10원일 때, 이 코인을 매입하여 10원을 지불하고, 이 코인 가격이 15원으로 상승했을 때 매도하여 5원의 수익을 내는 행위를 매수라고 합니다. 이러한 모든 매입 행위의 매수(롱)는 현물 거래에서의 매매입니다.

  1. 매도, 숏:

매도: 시장 상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숏: 시장 하락을 예상하여 매도하는 행위로, 현물 시장에서는 불가능하지만, 선물에서 레버리지 거래를 통해 가능합니다.

숏 포지션: 투자자가 현재 가격이 높지만 시장 전망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여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보고, 현재 가격으로 암호화폐를 매도한 후, 가격이 하락하면 다시 매입하여 차익을 실현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는 먼저 매도하고 나중에 매입하는 거래 행위를 특징으로 합니다.

예시: 예를 들어, 현재 코인 가격이 10원일 때, 미래에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현재 10원을 가지고 있지 않고 3원이나 2원만 가지고 있다면, 코인을 매입하기에 본전이 부족하기에 수중에 가지고 있는 2원을 담보로 제3자로부터 코인을 빌립니다. 빌린 코인을 즉시 시장에서 매도하여 수중에 10원을 확보하지만, 이 10원은 제3자에게 코인을 갚기 전까지 인출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빌려서 매도하는 행위가 매도(숏)의 시작입니다.

가격이 예상대로 하락하여 5원이 되면, 수중에 가지고 있는 10원 중 5원을 사용하여 코인을 매입하여 제3자, 예를 들면 거래소에게 갚습니다. 이렇게 갚으면 서로 빚진 것이 없게 되고 남은 금액은 수익으로 됩니다. 제3자의 이자를 계산하지 않는다면 5원이 수익이 됩니다.

이것이 매도(숏)의 수익 과정입니다.

하지만, 매도한 가격이 예상대로 하락하지 않고 오히려 상승하면 보증금이 손실을 입게 되고, 이 손실이 보증금이 견딜 수 있는 한도를 초과하면 강제청산되며 보증금을 모두 잃게 됩니다.

Last updated